■ 차례상 차리기
■ 진설 하는 열은 모두 5열로 하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합니다.
제상진설의 원칙 (각 지방 및 집안의 풍습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
5열 |
: 과일을 놓는 줄 |
조율이시(棗栗梨枾) - 왼쪽부터 대추, 밤, 배. 홍동백서(紅東白西) - 붉은 과실은 동, 흰 과실은 서. | ||||
조율이시 (棗栗梨枾) |
좌측부터 대추.밤.감(곳감).배(사과)의 순서대로 과일을 올립니다. | |||||
그 이외의 과일들은 정하여진 순서가 따로 없으나 나무과일, 넝쿨과일 순으로 차린다. | ||||||
복숭아는 안 쓴다. | ||||||
조율시이(棗栗枾梨)라 하여 감과 배의 순서를 바꾸는 경우도 있다. | ||||||
* 참조로 조(대추)는 씨가 하나로 임금을 뜻하고 율(밤)은 세톨로 삼정승, 시(감)는 여섯개로 육방관속, 이(배,사과)는 여덟개로 8도 관찰사를 뜻함으로 조율시이의 순서가 옳다고 하는 예가 있습니다. | ||||||
과일 줄의 끝에는 조과류 (손으로 만든 과자) 를 쓰되 그 순서는 다식류 (송화.녹말.흑임자) 을 먼저 쓰고 그 다음이 유과류 (산자.강정 등) 마지막 끝에 당속류 (오화당.원당.옥춘 등) 를 사용한다. | ||||||
홍동백서 (紅東白西) |
과일 중에 붉은 색 과일은 동쪽에 놓고 흰색 과일은 서쪽에 놓습니다. | |||||
4열 |
: 반찬(포와 나물)을 놓는 줄 |
좌포우혜(左鮑右醯) - 왼쪽에 포(脯), 오른쪽에 식혜. | ||||
좌포우혜 |
좌측 끝에는 포(북어, 대구, 문어, 오징어포 등)를 쓰며 우측 끝에는 혜(식혜)나 수정과를 씁니다. | |||||
건좌습우 (乾左濕右) |
마른 것은 왼쪽에 젖은 것은 오른 쪽에 놓습니다. | |||||
생동숙서 (生東熟西) |
김치(제사에는 백김치를 씁니다) 같은 날것은 젯상의 동쪽에, 익힌 나물은 서쪽에 .. | |||||
4열 중간에 나물반찬은 콩나물, 숙주나물, 무나물 순으로 올리고 삼색나물이라 하여 고사리, 도라지, 시금치나물 등을 쓰기도 하며 김치와 청장(간장), 침채(동치미, 설명절)는 그 다음에 올립니다. | ||||||
* 각 집안 풍속에 따라 집에서 먼 곳에서 얻을 수 있는 재료부터 왼쪽에서 우측으로 진설 하기 도 함. | ||||||
3열 |
: 탕을 놓는 줄 |
탕류 - 육탕, 소탕, 어탕 순. | ||||
대개는 3탕으로 육탕(육류).소탕(두부.채소류).어탕(어패류)의 차례로 올립니다. | ||||||
5탕을 사용할 때는 봉탕(탕.오리). 잡탕 등을 더 올립니다. 한가지 탕으로 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 ||||||
2열 |
: 적(炙)과 전(煎)을 놓는 줄 |
어동육서(魚東肉西) - 어찬은 동쪽, 육찬은 서쪽. | ||||
적전중앙 (炙奠中央) |
적은 중앙에 위치합니다. | |||||
적은 적을 놓는 줄 맨 좌측에 쓴다. | ||||||
적 : 생선이나 고기를 대꼬챙이에 꿰어서 양념하여 구운 음식. 전 : 재료에 밀가루를 뭍혀서 후라이 팬에 부친 음식(부침개). | ||||||
대개는 3적으로 육적(육류).어적(어패류).소적(두부.채소류)의 순서로 올린다. | ||||||
5적을 사용할 때는 봉적 (닭.오리). 채소적을 더 사용하는 예도 있습니다. | ||||||
옛날에는 술을 올릴 때마다 즉석에서 구워 올리던 제수의 중심 음식이었으나 지금은 다른 제수와 마찬가지로 미리 구워 제상의 한가운데 놓습니다. | ||||||
어동육서 (魚東肉西) |
생선은 동쪽에 놓고 육류는 서쪽에 놓습니다. | |||||
두동미서 (頭東尾西) |
생선의 머리는 동쪽을 향하게 하고 꼬리는 서쪽을 향하게 놓습니다. 이때 고기의 배는 남쪽을 향한다. | |||||
1열 |
: 술잔,메(밥),떡국(설),송편(추석)을 놓는 줄 |
앞에서 보아 떡국(송편)은 우측, 술잔은 좌측. | ||||
좌면우병 |
좌측에 국수를 우측에 떡을 놓습니다. | |||||
면(국수)는 건데기만을 올리며 청(조청.꿀.설탕)은 편의 왼쪽에 올립니다. | ||||||
반서갱동 (飯西羹東) |
메(밥)을 왼쪽(서쪽)에 갱(국)을 오른쪽(동쪽)에 올린다. 산 사람의 상 차림과 반대이다. | |||||
시저(수저와 대접)는 단위제의 경우에 메의 왼쪽에 올리며 양위합제의 경우에는 메와 갱 사이 중간 부분에 올립니다. | ||||||
접동잔서 (接東盞西) |
접시는 동쪽(오른쪽), 잔은 서쪽(왼쪽) | |||||
향상 | ||||||
축판을 올려 놓고 향로와 향합을 올려 놓고 그 밑에 모사 그릇, 퇴주 그릇 등을 놓습니다. | ||||||
동쪽은 제관의 우측, 서쪽은 제관의 좌측을 말한다. | ||||||
과채적탕 (果菜炙湯) |
맨 앞줄에 과일, 다음 줄에 채소로 만든 나물, 다음이 적(부친 음식), 그 다음이 탕(끊인 음식) 순으로 놓는다. | |||||
첫줄은 밥과 국, 수저가 놓이고 즉 가까운 곳에서 부터 맛있는 음식이나 귀한 음식부터 차례로 놓고 가장 먼 곳에 후식으로 먹는 과일이나 떡, 과자 등을 놓는다. | ||||||
■ 제사상 차리기
■ 제상 진설도 제례(祭禮)란 제사 지내는데에 대한 여러가지 예(禮) 말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예가 그리 복잡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제대로 지켜지지 않음은 그 만큼 현대인들이 제사(祭祀)를 등한히 한다는 증거가 있고 따라서 조상에 대한 자손의 도리를 다하지 않은 결과가 되는 것이다. ▶ 합설(合設) 조상의 제사는 배우자가 있을 경우 함께 모신다. 밥, 국, 술잔은 따로 놓고 나머지 제수는 공통으로 한다. ▶ 남좌여우(男左女右) 남자조상은 서쪽(왼쪽), 여자조상은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 모든 기준은 제사를 지내는 사람을 기준으로 좌에서 우로 배열한다. 좌측은 양, 우측은 음을 의미한다. 할아버지와 할머니 제사를 함께 지낸다면, 좌측에 할아버지, 우측에 할머니 밥과 국을 놓는다. 증조부모와 조부모(할아버지 할머니) 제사를 함께 지낸다면, 좌측에 증조부모, 우측에 조부모 밥과 국을 놓는다. 함께 절을 할 때에도 연장자가 좌측에 선다. 여자들과 함께 절을 할 때에도 남자들이 좌측, 여자들은 우측에 선다. 제주가 혼자 절할 때 남자들은 좌측, 여자들은 우측에서 있는다. ■ 제사상 놓기 제사상은 안방의 북쪽을 향해 놓는다. 집에 병풍이 있다면 병풍을 북쪽 벽을 향해 맨 먼저 놓는다. 제사상은 벽이나 병풍에서 50Cm정도 떨어지게 놓는다. 이 곳에 방석을 놓기도 한다. 병풍은 대개 한 면에는 꽃이나 나무 그림이 다른 쪽은 글씨가 쓰여져 있는데, 차례에는 꽃이나 나무 그림이 보이도록 세우고, 기제사인 경우에는 글씨가 보이게 세운다. ■ 알아두어야 할점 돌아가신 날 새벽 0시초 내외 제관은 세수하고 옷을 입되 남자는 흰옷에 흰띠를 하고 여자는 천한 무색옷에 금은 패물을 지니지 않고 청사에 서서 제물을 올린다. 제물은 실과를 먼저 올리며 제관의 왼쪽으로부터 차례대로 진설 하여야 한다. ■ 제사상 차리기 우리나라 속담에 "남의 제사에 감 놓아라, 배 놓아라"라는 말이 있는데, 이 말을 뒤집어 놓으면 집안마다 음식을 차리는 방법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사상을 차리는데 대한 정답은 없다. 하지만 여러가지 제사상을 차리는 방법에도 공통적인 원칙이 있다. 이러한 원칙은 다음과 같다. (1) 제사상은 북쪽을 향한다. (2) 좋은 음식을 혼백의 가까이 놓는다. (3) 좋은 음식을 혼백의 오른쪽에 놓는다. (4) 모든 음식은 홀수로 놓는다. ■ 제사상은 북쪽을 향한다. 한자에서 북녁 북(北)자는 원래 등 배(北)자에서 탄생되었다. 등 배(北)자는 두 사람이 서로 등을 대고 서 있거나 앉아 있는 형상의 상형문자이다. 한자를 만든 중국이나 한국에서는 집을 지을 때 겨울에 햇볕을 잘 들게 하려고 남쪽을 향해 지었다. 따라서 높은 사람이 집안의 안쪽에 앉으면 자연스럽게 등이 북쪽으로 향하게 되는데, 그래서 등 배(北)자가 "북쪽"이라는 의미가 생겼다. 대궐에서 왕이 자리에 앉거나, 관아에서 원님이 앉을 때에도 모두 등이 북쪽을 향한다. 따라서 제사를 지낼 때에도 혼백의 등이 북쪽을 향하도록 앉으니까, 자연히 제사상은 북쪽을 향하게 된다. 하지만 아파트 생활이 일상화된 현실에서, 북쪽을 고집하기가 힘들다. 더욱이 안방은 침대가 차지하고 있어서 제사상을 놓을 자리가 없다. 이런 경우에는 혼백이 거실에 있는 소파에 앉으시도록, 소파 앞에 제사상을 차리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라고 생각한다. ■ 좋은 음식을 혼백의 가까이 놓는다. 혼백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맨 먼저 놓는 것은 밥과 국이다. 그 다음부터는 좋은 음식(혹은 비싼 음식)을 혼백 가까이 놓으면 된다.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 아닌가? 예나 지금이나 좋은 음식이 비싼 음식을 의미한다. 물론 여기에서 비싸다는 의미는 옛날의 물가를 기준으로 보아야 한다. 이런 기준으로 보면 동물성 음식(고기, 생선, 포)은 식물성 음식(나물, 과일)보다 비싸다. 그리고 육류는 생선보다 비싸다. 또한 요리한 음식(나물)은 요리하지 않은 음식(과일)보다 비싸다. 제사를 차리는 법으로 과채적탕(果菜炙湯 - 과일, 채소, 적, 탕)이라는 말이 있는데, 맨 앞줄에 과일, 다음 줄에 채소로 만든 나물, 다음이 적(부친 음식), 그 다음이 탕(끊인 음식) 순으로 놓는 방법이다. 하지만 일부 지방에서는 적과 탕의 순서를 바꾸어 놓는 경우도 있다. 실제로 위의 원칙대로 음식을 놓아보면 어떤 줄에 놓을 음식이 너무 많은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는 앞줄이나 뒷줄로 보내면 된다. ■ 좋은 음식을 서(西)쪽 에 놓는다. 제사상을 차릴 때 혼백의 가까이에 좋은 음식을 놓듯이, 혼백의 서쪽에 좋은 음식을 놓는다. 주로 사용하는 오른손 가까이에 좋은 음식을 놓아 드시기 편하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차례와 같이 2~4대의 제사를 한 상에 차리는 경우 서쪽부터 높은 조상신(증조부-증조모-할아버지-할머니-아버지-어머니)을 모시기 때문에 서쪽에 더 좋은 음식을 놓는다. 제사를 차리는 법으로 어동육서(魚東肉西 -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라고 있다. 생선보다는 고기가 비싸기 때문에 고기를 혼백의 오른쪽에 놓는다. 또한 두동미서(頭東尾西 -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를 보면, 꼬리가 먹기 좋은 쪽이기 때문에 서쪽에 놓는다. 생동숙서(生東熟西 - 생 것은 동쪽, 익힌 것은 서쪽)를 보면, 생 것 보다 익힌 것이 먹기 좋기 때문에 서쪽에 놓는다. 따라서 사자성어와 같은 제사 차리는 법을 모두 외우기 보다는 혼백을 기준으로 가깝고 서쪽에 좋은 음식을 놓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 숫자에 담긴 음양의 이치 살아 있는 사람에게 절을 할 때에는 1 번하지만, 죽은 사람에게 절을 할 때에는 항상 2 번한다. 살아 있음은 양(陽)을 의미하고, 홀수인 1도 양(陽)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죽음은 음(陰)을 의미하고, 짝수인 2도 음(陰)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여자는 4번 절을 하는 집안도 있다. 이는 남자는 양(陽)이고, 여자는 음(陰)이기 때문에, 여자(陰)가 죽은 사람(陰)에게 절을 하면, 음(陰)과 음(陰)이 겹치기 때문에 4번이 된다. 하지만 절을 하는 횟수를 제외한, 제사는 지배하는 숫자는 다음과 같이 모두 양의 수이다. - 분향할 때 향의 갯수는 한개 혹은 3개를 꽂는다. - 제사상에 음식을 놓는 줄수는 3줄 혹은 5줄이다. - 제물의 갯수(생선 마리수, 과일 수, 나물의 종류, 탕의 종류 등등)는 모두 1, 3, 5, 7... 개로 모두 홀수 이다. 과일을 놓을 때도 홀수 개로 놓는다. 생선도 한마리나 3마리를 놓는다. 나물도 3가지나 5가지를 놓는다. ■ 제사상에 사용하지 않는 음식 고추나 마늘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한국인이 가장 즐겨 먹는 김치는 제삿상에 올리지 않는다. (일부 지방에서는 김치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김치는 고추가루가 들어가지 않은 백김치이다) 원래 고추는 한국에서 재배되지 않았다. 한국에 들어온 내력에는 임진왜란 때 왜군이 독한 고추로 조선 사람을 독살하려고 가져왔으나, 오히려 고추를 즐기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 사실 여부를 떠나 고추는 임진 왜란 때 일본에서 들어 왔고, 이로 인해 제삿상에는 고추를 절대로 사용하지 않는다. 이름에 " 치(稚,어릴 치)"자가 들어가는 생선(준치, 넙치, 날치, 멸치, 꽁치, 갈치, 한치 등 주로 비늘이 없는 생선)은 제사상에 사용할 수 없다. 왜 그런지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으나, 예로부터 한약을 먹을 때도 비늘 없는 생선을 금기시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옛날에는 이름에 "치"자가 들어가는 생선이 비교적 흔하고 싼 생선이기도 하였다. 지방에 따라 다르나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기가 조기이다. 제주 지방에서는 옥돔을 사용하고, 경상도에서는 상어고기(돈배기라 부른다)를 사용하기도 하고 내륙지방인 안동에서는 간고등어를 사용한다고 한다. 옛날 사람들은 복숭아 나무가 요사스런 기운을 몰아내고 귀신을 쫓는 힘이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제사상에는 복숭아를 쓰지 않고, 집안에 복숭아 나무를 심지도 않는다. 과일을 구입할 때에는 반듯한 것으로 고른다. 썩거나 벌레 먹은 것은 안되고 모양이 비틀어져 보기가 이상한 과일을 사용해서도 안된다. 감 대신 곶감이나 귤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외에 바나나, 오렌지, 수입 포도 등 국내에서 재배되지 않는 과일을 제사상에 올리는 경우도 있는데, 여기에 대해서는 어떤 제한이나 금기는 없다 (오히려 조선 시대에는 이런 과일이 귀해 임금이나 가까운 신하들만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 식혜,탕,면은 건데기를 사용합니다. 술은 청주를 주로 사용하나 탁주를 사용하기도 한다. 추석에는 햅쌀(그해 수확한 쌀)를 준비한다. ■ 중요한 것은 마음이다. 제사를 지내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위에서 열거한 복잡한 형식이 아니라 마음과 정성이다.(이 말은 공자님께서 하신 말씀이다). 돌아가신 분이 생전에 담배를 즐겨 피우셨다고, 담배에 불을 붙여 제사상에 올려 놓는 사람도 있다. 담배를 제사상에 놓는 것이 옳은지 그른지를 떠나, 돌아가신 분을 위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없다고 생각한다. 예전에 TV드라마에서 돌아가신 어머니께서 생전에 화투(花鬪)를 즐겼었다고, 어머니 제사상 앞에 화투를 갖다 놓고, 어머니와 화투치는 시늉을 하는 것을 본 적이 있는데, 감동 그 자체였다!!! 더 중요한 것은 일년에 몇 차례 가족이 모두 모여, 돌아가신 분을 기리며 음식를 대접하고, 서로 간에 음식을 나누어 먹음으로서 가족 간의 사랑을 확인하는 것이다.
자기를 낳아 길러주고 돌보아주신 선조(先祖) 에 대한 정성을 다한는 예(禮)로서 모시는 자손의 당연한 도리라고 하겠다.
'현대상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0 (0) | 2010.01.21 |
---|---|
[스크랩] 기제사와 차례 상식 (0) | 2009.10.02 |
[스크랩] 차례상 (0) | 2009.10.02 |
[스크랩] 추석명절 차례상 차리는 법 (0) | 2009.10.02 |
[스크랩] 추석명절 조상 신위(지방) 쓰는 법 (0) | 2009.10.02 |